홈 서버를 구성하고 있는 라즈베리파이 2대를 기존에는 대충 TV 뒤쪽에 위치시켜 두고 있었습니다. 네트워크는 WiFi를 쓰고 있고 크기도 작아서 아무 데나 둬도 되지만, 2대가 동 떨어져서 너무 방치돼 있는 거 같아 애들이 어렸을 때 가지고 놀던 레고를 사용하여 케이스를 만들어 봤습니다.
1층에 라즈베리파이 3를 위치시켰습니다. 방열을 위해 한쪽 측면에는 구멍이 나 있는 블록으로 배치했고요. 그리고, 2층에는 라즈베리파이 5를 위치시켰습니다.
라즈베리파이가 딱 들어갈 정도로 크기를 맞췄기 때문에 방열이 좀 우려가 되기는 했습니다. 소음의 여지가 있는 쿨링팬은 달기 싫고 원활한 공기 흐름을 위해 크기가 커지는 것도 싫었지만 과열에 대해서는 신경이 쓰였습니다. 하지만, 이내 '뜨거워져 봐야 100도 넘겠어' 하는 생각으로 계획한 대로 만들기로 했습니다.
열로 인한 성능저하도 고려하기는 했습니다. 다만, 라즈베리파이 3의 경우는 크게 부하가 안 갈거라 크게 우려되지는 않았고, 5는 온도로 인해 쓰로틀링이 걸릴 거지만, 성능이 좀 떨어진 상태여도 지금 사용하는 데 크게 문제는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결정은 이렇게 했지만 100도 넘고 그러면 안 될 거라 다 만들어서 배치한 후에 온도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했습니다. 이와 관련해서는 다음번 글에서 한 번 다뤄 보겠습니다. 라즈베리파이의 방열과 관련해서는 공식 사이트에 5 대상으로 테스트를 한 글이 올라와 있습니다. 관심 있는 분들은 한 번 보셔도 좋을 거 같습니다.
https://www.raspberrypi.com/news/heating-and-cooling-raspberry-pi-5/
Heating and cooling Raspberry Pi 5 - Raspberry Pi
With the release of Raspberry Pi 5, we're introducing two new official hardware solutions for cooling.
www.raspberrypi.com
상판을 덮고 미니 피규어도 하나 올렸습니다.
전원을 연결한 모습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렇게 완성하여 이제는 잘 정돈된 모습으로 PC위에 한 자리 차지하고 있습니다.
'생활코딩' 카테고리의 다른 글
LG ThinQ API 로 가전 제품과 연동하기 (0) | 2025.02.10 |
---|---|
라즈베리파이 시스템 지표 모니터링 (0) | 2025.02.03 |
라즈베리파이 온도 확인 (0) | 2025.01.30 |
라즈베리파이 - 워드프레스 설치 가이드 (1) | 2025.01.23 |
라즈베리파이 - redis 설치 (0) | 2024.12.25 |